한국부동산이코노미 도경수 기자 | 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 경남우주항공방산과학기술원(GADIST, 가디스트)의 GNU우주항공방산연구소는 7월 23일 가좌캠퍼스에서 ‘최신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 기술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차세대 스마트 기술의 핵심인 에너지 하베스팅과 디스플레이 기술의 최신 동향을 조망하는 뜻깊은 자리가 됐다. 행사에는 경상국립대학교 참여 연구자들과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활발한 학술 교류를 펼쳤다.
이번 세미나는 글로컬대학 30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가디스트의 ‘AI 기반 센서 및 에너지 장치센터’(ACE센터. 센터장 김윤희 교수)가 중심이 되어 마련됐다. ACE센터는 인공지능 기반 센서 및 에너지 소자 기술 개발을 통해 차세대 스마트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하는 핵심 연구조직이다.
첫 번째 발표에서는 한국전기연구원 최혜경 박사가 ‘자가 구동 AIoT: 환경에서 에너지 수확’이라는 주제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최신 동향을 소개했다. 최 박사는 주변 환경에서 에너지를 수집하여 자가 전력 공급이 가능한 사물인공지능(AIoT,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시스템 구현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태양광, 진동, 열, 전자기파 등 다양한 환경 에너지원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스마트 센서 기술이 참석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두 번째 발표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강찬모 박사가 ‘OLED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기술동향’이라는 주제로 디스플레이 기술의 미래를 제시했다. 강 박사는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스마트글래스 등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 부품인 OLED 마이크로디스플레이의 기술 발전 방향과 상용화 전망을 상세히 설명했다. 고해상도, 저전력, 소형화라는 삼박자를 만족하는 혁신적 기술 솔루션이 소개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세미나는 ACE센터의 우수한 참여 연구진이 주도하여 더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경상국립대학교의 김윤희, 김기환, 김준영, 이동구, 이태경 교수와 함께 최혜경 박사, 강찬모 박사가 참여 연구자로 구성된 이 팀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융합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참석자들은 각 발표 후 진행된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기술의 실용화 방안과 산업 적용 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을 벌였다. 특히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과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기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스마트 기기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GADIST ACE센터 김기환 교수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에너지 하베스팅과 디스플레이 기술 융합의 무한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ACE센터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연구협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혁신 기술을 개발해 나가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최혜경 박사는 “자가 전력 공급형 AIoT 시스템은 미래 스마트 사회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대학의 창의적 연구역량과 국가연구기관의 실용화 기술이 결합되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강찬모 박사는 “OLED 마이크로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한국이 세계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산·학·연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이러한 정기적인 교류를 통해 기술 혁신과 인재 양성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단순한 기술 소개를 넘어 차세대 스마트 기술 생태계 구축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GADIST ACE센터는 향후 정기 세미나 개최, 공동연구 프로젝트 발굴, 기술 사업화 추진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지속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특히 글로컬대학 30사업과 연계한 체계적인 연구 인프라 구축과 ACE센터를 중심으로 한 융합 연구 활성화를 통해 국내 우주항공 및 방산 분야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