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이코노미 송재민 기자 | 강남의 주요 상권이 예년과는 다른 한산한 모습을 보이며, 연말 특수를 기대했던 상인들에게 실망감을 안겼다. 12월 25일 크리스마스를 맞아 압구정로데오, 신사동 가로수길, 논현동 먹자골목, 강남역 등 강남의 대표 상권은 평소와 사뭇 다른 조용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평일 크리스마스라는 요인에도 불구하고, 과거 붐비던 연말 대목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었다. 웨이팅이 필수였던 인기 맛집들조차 손님이 드문드문 방문하는 데 그쳤으며, 일부 가게는 연말임에도 불구하고 일찍 문을 닫았다. 크리스마스와 연말 분위기를 주도하던 헌팅포차와 클럽 같은 강남의 대표적 업종들조차 상황은 비슷했다. 매년 북적이던 이곳들마저 한산한 모습을 보이며, 상권 전체가 침체된 분위기에 휩싸였다. 저녁 9시 이후 시민들의 발걸음이 귀가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강남 상권은 연말 특수조차 누리지 못하는 현실을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소비 심리 위축과 경기 침체가 이러한 현상의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한다. 한국은행은 11월 발표한 경제전망 자료에서 2025년 GDP 성장률을 1.9%로 하향 조정하며 경기 침체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강남 상권에서도 예외 없이 영향을
한국부동산이코노미 송재민 기자 | 최근 발의된 ‘무제한 계약갱신청구권’이 논란 끝에 철회됐다. 이 법안은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강화하려는 취지로 발의되었으나, 임대차 시장의 혼란과 임대인의 권리 침해 우려 등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며 결국 좌초됐다. 그러나 이번 철회가 논의를 완전히 종결지은 것은 아니며, 향후 임대차 시장 정책 방향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 법안이 도입되었다면, 임차인은 주거 불안을 덜 수 있었을 것이다. 계약 만료 시 임대인의 갱신 거절이 어려워져 안정적으로 주거지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임대인의 입장에서는 상황이 달랐다. 무제한 갱신은 임대인의 재산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주택의 매도나 활용이 제약될 수 있어 임대인의 자유로운 재산권 행사가 어려워질 우려가 컸다. 임대주택 공급 감소에 대한 우려도 주요 논점이었다. 임대인의 권리가 지나치게 제한될 경우, 임대차 시장에서 철수하거나 주택을 매도하려는 임대인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었다. 실제로 법안 논의 과정에서 일부 임대인들이 매물을 시장에 내놓거나 임대차 계약을 포기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었다. 이는 임대주택 매물 감소로 이어져 임차인이 원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