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이코노미 도경수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가 종이 대신 전자영수증으로 탄소배출을 줄이면서 지역 소상공인에게는 새로운 홍보 채널을 제공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제주도는 5일 도청 탐라홀에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세븐일레븐․이디야․티머니모빌리티 등 주요 기업, 동문재래시장․동문수산시장․제주칠성로상점가․서귀포매일올레상점가 등 지역 상권 대표들과 ‘전자영수증을 활용한 소상공인 홍보 지원 및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제주도의 ‘인공지능(AI)·디지털 대전환 로드맵’을 실생활에 구현하는 사업으로, 도민들이 일상에서 디지털 혁신의 편익을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전자영수증에 소상공인 홍보 기능을 결합한 방식은 전국 최초로, 디지털 기술로 환경보호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모델이다.
국내에서 연간 128억 건 발행되는 종이영수증은 12만 그루의 나무 소비와 2만 2,000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유발한다.
이번에 도입되는 전자영수증은 근거리무선통신(NFC) 태그 기술을 활용해 별도 앱 설치나 개인정보 입력 없이 스마트폰을 태그에 터치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다.
이 전자영수증에는 지역 소상공인의 홍보 배너, 매장 명함, 할인 쿠폰 등이 포함돼 효과적인 마케팅 도구로 활용된다.
협약에 따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공인전자문서 기반 기술을 지원하고, 세븐일레븐, 이디야, 티머니모빌리티 등 기업들은 자사 매장에서 발행하는 전자영수증에 제주 지역 소상공인 홍보 콘텐츠를 함께 제공한다.
재래시장과 상점가는 전자영수증 발급 시 쿠폰과 매장 정보를 담아 고객 유치와 재방문을 유도할 계획이다.
소비자들에게도 혜택이 돌아간다. 환경부 ‘탄소중립실천포인트’ 제도를 통해 건당 100원, 연 최대 7만 원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어 자발적 참여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도는 올해 말까지 주요 재래시장과 상점가를 중심으로 200개 이상 매장에 전자영수증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네이버 리뷰 연계 마케팅 등 디지털 홍보 전략도 확대할 계획이다.
오영훈 지사는 이날 협약식에서 “전자영수증 발급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소상공인의 매출과 부가가치를 확대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탄소중립 실천과 지역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이루는 이번 혁신 모델은 제주의 디지털 전환 대표 성공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1차산업과 의료, 교육, 안전 분야에도 첨단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도적으로 도입해 도민이 체감하는 디지털 혁신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장은 “전자문서법 전담기관으로서 전자영수증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디지털 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이 제주도민과 소상공인 모두의 탄소중립 실천 출발점이 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업 대표들은 “제주 지역 매장의 전자영수증 시스템을 활용해 지역 상점 정보와 특산품을 적극 홍보하고, 친환경 경영과 지역 상생에 앞장서겠다”며 “종이 사용 감소를 통한 탄소저감과 제주 소상공인 디지털 마케팅 지원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뜻을 모았다.
시장 및 상점가 대표들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전통시장과 상점가도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변화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청정 제주를 위한 탄소중립 정책에 동참하고 도민과 관광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